직장이야기

6시그마 과제점검을 위한 Quick Reference Card

오디오전도사 2010. 7. 15. 10:15

 

 

 

 

6시그마 과제점검을 위한

Quick Reference Card

 

 

 

 

 

 

 

 

 

 

 

 

 

 

 

 

 

 

 

 

 

㈜아이비티

 

 

1. 과제 점검의 목적

 

□ 팀의 과제 진행상황 점검

□ 우선순위 확인 및 조정

□ 회사전략과 과제활동의 연계

□ 과제 수행 지침 및 방향 제공

□ 과제 수행 내용의 확실한 이해

Best Practice 공유

□ 필요한 자원 파악, 제공 및 이슈 해결 지원

□ 과제활동에 대한 지원 가시화

□ 과제 수행간 코치 및 지침 제공

□ 개선활동에 대한 인정과 보상

 

2. 검토회의 방안/의제()

 

□ 회의 참석자

Black Belt 및 과제수행 팀원

• 과제수행 팀 챔피언

Master Black Belt

Process Owner, 기타 관리자 및 관련 요원

□ 주기: 최소한 과제 수행 각 단계 종료 시 

□ 회의지침

•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선택

• 팀에서 준비물은 최소화

• 팀은 검토 2~3일 전에 검토자들에게 스토리보드 전송

• 검토자들이 팀을 평가하지 않도록 주의 

□ 의제 Sample

• 챔피언의 간단한 Introduction

• 과제 팀의 Presentation

- 검토자 들은 들으며 메모, 질문은 나중에

• 검토자들의 할 일

- 논리와 데이터 중심으로 검토

- 명확한 확인을 위한 질문

- 고려할 사항 제안

• 과제 팀의 질문 및 의견

• 챔피언의 간단한 마무리

 

3. 팀의 성공을 위한 주요 Check Point

 

□ 점검의 목적

• 개선활동에 과제수행 절차를 올바로 사용하여 성공이 보장 되도록 지원 

□ 주요 점검 항목

• 팀에 적정한 BB MBB를 선정 하였는가 여부

BB와 과제 팀원의 교육 이수 여부 및 과제 수행 절차 준수 여부

• 팀원들이 일정대로 주기적인 회의를 실시하는지 여부

• 팀원들이 정기적인 모든 회의를 참석하는가 여부

• 팀원이 회의와 회의 사이에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시간배려 여부

• 정기적인 검토 일정계획을 수립하고 시행

• 팀원들이 효과적으로 협업하고 있는가 여부

• 과제완료 일정계획을 수립하고 준수하는가 여부

• 팀이 수행한 업무를 문서화하고 있는가 여부

• 충분한 자원을 제공 받고 있는지 여부 

□ 관련 Tool Skill

CAP, 회의진행 kill, 교육이수,

과제일정/Gant Chart 

 

□ 유용한 질문

• 팀에 할당한 Black Belt Master Black Belt는 누구인가?

• 팀원과 BB가 이수한 교육은?

• 모든 팀원이 교육을 이수하였는가?

MBB 는 팀원들에게 어느 정도의 시간을 소요하고 있는가?

• 팀은 얼마나 자주 만나고 있는가?

• 회의 참석율은?

• 회의 이외에 팀원이 과제를 위하여 할애하는 시간은?

• 팀원의 협업을 방해하는 장애 사항이 있는가?

있다면 처리방안은?

• 과제는 언제 시작하였는가?

종료일은 언제로 계획 되었는가?

과제는 일정대로 진행 되고 있는가?

• 팀에서는 산출물을 어떻게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어떻게 문서화하고 있는가?

• 팀의 성공을 위하여 어떤 다른 자원이 필요한가?

 

4. Define 단계

 

□ 점검의 목적

• 고객과 그 CTQ 정의

• 팀 챠터 작성 및 보완

• 개선 대상 업무 프로세스 맵핑 

□ 주요 점검 항목

• 고객이 적절하게 파악 및 세분화 되었는가?

고객의 Needs와 요구사항을 확인해 주는 데이터가 수집되어 그래프로 나타나

있는가?

• 문서화된 팀 헌장에는 과제를 해야 하는 근거, 일차적인 문제기술서, 과제 범위, 목표,

일정, 팀원의 역할 및 책임 등이 명시되어있는가?

• 공급자, Input, 5~7개의 프로세스 활동, Output, 고객 등을 명시한 현재의프로세스

맵핑을 상위 차원으로 작성하여 확인 하였는가? 

□ 관련 Tool Skill

• 브레인스토밍

CTQ Tree

• 고객 Survey 및 기타 “VOC” 청취를 위한 도구

• 우선순위 프로세스(: Cause & Effect Matrix)

• 프로세스 맵(SIPOC)

Project Plan/Gant Chart 

 

□ 유용한 질문

• 고객

- 고객은 누구인가?

- 고객 세분화가 적절히 되어 있는가?

• 팀 챠터

- 본 과제를 실행해야 하는 업무상 이유는 무엇인가?

본 과제를 해야만 하는 절대적인 이유를 (팀원들이) 이해하고 있는가?

- 본 과제를 실행 함으로써 어떠한 업무Y”(주요 Output 측정치) 성과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무엇인가?

이 문제는 어디에서, 언제 어느 범위까지 발생하고 있는가?

    - 다른 과제 팀에서 해당 문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지

않았는가? 본 과제 활동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 과제범위의 경계는?

목표는 달성 가능한가?

    - 과제팀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 과제의 주요 일정계획이 수립 되었는가? 

• 상위 차원의 프로세스 맵핑(SIPOC)

- 이 프로세스 맵은 어떻게 작성하였나?

- 프로세스 맵을 어떻게 확인하였는가?

- 업무 프로세스를 실제로 따라 가며 확인해 보았는가?

- 다른 종류의 Input을 모두 다루기 위해 여러 Version을 작성할 필요가 있는가?

 

5. Measure 단계

 

□ 점검의 목적

• 과제의 Y와 프로세스의 현재 성과 기준치를 확인

Y 및 해당 프로세스 측정치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

• 프로세스의 현 공정 능력(개선 전 성과 Data)을 측정

• 과제의 개선 목표 설정 

□ 주요 점검 항목

• 주요 측정치에 대해 공감대 형성

• 프로세스의 주요 결함 파악 및 정의

• 건실한 데이터 수집 계획 및 측정 시스템 분석

• 적절한 챠트 및 그래프를 사용하여 프로세스의 산포 표시

• 프로세스의 공정 능력 및 시그마 수준의 현 기준치 

□ 관련 Tool Skill

Check Sheets

Operational Definition(운용 정의), Process Map

Opportunity, Defect, Control Chart, Fun Chart, Histogram

Sampling Techniques, DPMO, DPO, DPU, Process Sigma(Zst)

• 수율(직행율, 최종수율, Rolled, Throughput, Normalized)

MSA, Gage R&R 

 

□ 유용한 질문

• 어떠한 주요 Y들과 X(Output, Process, Input Measure)이 본 프로세스의 성과를

나타내는가?

• 프로세스의 시그마 수준을 계산 할 때 사용하는 결함, Unit, 기회 등은 어떻게 정의 하였는가?

• 데이터 수집 계획은?

어느 정도 분량의 데이터를 수집 하였는가?

Sampling은 어떻게 했는가?

• 데이트 분석 시 사용하게 될 층별화 요건은 무엇인가?

• 측정 프로세스의 신뢰성 및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어떤 방법을 적용 했는가?

• 프로세스의 산포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한 Chart를 보여 주시오.

• 현재 프로세스 시그마 수준은?

본 과제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목표는?

“Quick Win”사항은 없는가?

• 과제의 범위가 적정한가?

 

6. Analyze 단계

 

□ 점검의 목적

• 데이터 및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산포의 주요 원인(Vital x)을 파악

• 과제의 재무적 기회를 정량화 

□주요 점검 항목

• 프로세스에 있는 모든 가능한 “x” list를 우선 순위화 하여 정리

• 과제 Y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Vital Few(x) List 정리

List를 축약하는데 사용한 Tool이나 그 단계의 논리적인 과정. 예를 들면:

- 프로세스의 “Moment of Truth”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As-Is” 상세 프로세스

, “가치/비부가가치활동 분석 및 Cycle Time 분석 Tool

- 근본 원인과 “Vital Few” 요인을 파악, 확인, 정량화 해주는 Data를 활용 및 표시

- 주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 계획

• 분석을 통해 문제를 더 잘 이해하게 된 후 이를 반영하여 문제기술서 보완

• 과제의 재무적 성과 추정치 

□ 관련 Tool Skill

Cause & Effect Diagram, 부가가치/비부가가치 활동분석

Check Sheet, 파레토 분석, 비용/효과 분석, Process Map

• 실험계획법, Regression(회귀분석), Histogram, Scatter Diagram(산점도)

Hypothesis Test

(t-test, ANOVA, Chi Square:가설검정)

Stratification(층별화)

 

□ 유용한 질문

• 과제의 Y와 연결되는 Vital’x’는 무엇인가?

그러한 결론에 어떻게 도달하게 되었는가?

• 상세 프로세스 맵을 보여주시오. 어떻게 작성 했는가?

어느 정도의 상세 수준으로 작성 했는가?

이 맵을 분석함으로써 무엇을 알게 되었는가?

무엇이 결정적인 단계인가?

각 단계를 완성 하는데 얼마나 걸리는가?

어느 단계가 비부가가치적인가?

• 프로세스의 산포를 설명해 주는 원인 데이터를 어떻게 분석했는가?

데이터를 어떻게 층별화 했는가?

Cause Effect Diagram을 보여달라. 잠재적인 원인을 어떻게 파악 하였나?

Cause Effect Diagram의 주요 인자는 어떻게 파악하였고 어떻게 확인 했는가?

•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수집 했는가?

무엇을 측정 했는가?

분석에서 알게 된 점은 무엇인가?

• 현재의 프로세스의 결함으로 발생하는 비용(COPQ)을 반영한 본 과제의 재무성과는?

기대되는 비재무성과는?

• 특히 문제기술서와 과제범위와 관련하여 팀 챠터에 어떠한 수정을 가했는가?

“Quick Win”사항이 있는가?

 

7. Improve 단계

 

□ 점검의 목적

• 개선안 후보를 도출하고 검증

• 프로세스의 Vital ‘x’를 해결할 최상의 Solution을 선정

• 필요한 자원을 파악하고 성공적인 실행 계획을 수립 

□주요 점검 항목

• 문제에 대한 잠재적인 개선안 및 대안이 도출 되었고 검증 되었는가?

• 검증 시 수집한 데이터를 토대로 최선의 Solution을 선정 하였는가?

• 필요한 경우 “To-Be” Process Map이 작성 되었는가?

• 개선안이 과제의 Y에 미치게 될 영향을 평가 했는가?

• 과제 및 변화관리 계획을 포함하여 전면적인 실행안을 작성했는가?

• 긴급대책(Contingency Plan)이 수립 되었는가? 

□ 관련 Tool Skill

• 브레인스토밍(혹은 기타 창의성 개발 기법), CAP

Cost/Benefit Analysis(비용/이익 분석)

FMEA(오류 모드 에러 분석),

Mistake-Proofing(실수방지 기법)

Pilotiog(파일럿 실시),

Prioritization Matrix(우선순위표)

Process Map, 과제일정/ Gant Chart 

 

□ 유용한 질문

• 개선안을 어떻게 도출 하였는가?

파격적인사고를 하기 위해 어떠한 기법을 사용 했는가?

• 실수방지 기법(Mistake-Proofing) 혹은 강건설계(Robust Design)중 어느 부분을 개선안에서 활용하였는가?

• 잠재적인 개선안을 평가하기 위해 어떤 기준을 사용했는가?

“To-Be” 프로세스 맵을 보여주시오

• 이 개선안이 문제의 Vital ‘x’와 어떻게 다른가?

• 비용/이익 분석을 한번 상세하게 설명해 보라.

어떤 전제사항을 두었는가?

• 개선안에 대한 소규모 테스트는 어떻게 했는가?

Test는 어느 정도의 대표성을 지니고 있는가?

Pilot 결과를 볼 때 전면적인 규모의 실행 시 어떠한 변화 또는 문제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되는가?

• 변화 중에서 기술적 변화를 관리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

• 변화 중에서 문화적 변화를 관리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

변화를 성공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선 보상, 교육, 체계, 측정, 커뮤니케이션 등에 어떠한 변화를 주어야 하는가?

• 실험계획은 무엇인가?

계획대로 실행 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가?

• 실행계획 상에 잠재적인 문제는 없는가?

긴급사항 발생 시 대책은 무엇인가?

• 관리와 관련하여 이슈가 생기는 경우 그 해결방안의 관점에서 Solution을 평가 했는가? 

 

8. Control 단계

 

□ 점검의 목적

• 모든 영역에서 프로세스의 개선 실행

• 개선 사항의 유지 계획 실행 

□ 주요 점검 항목

• 개선 성과를 장기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프로세스 관리 계획

• 개선안이 일상 업무가 되도록 새로운 프로세스를 문서화 했는지 여부

• 대응계획 수립 및 전면 실행

• 개선안이 제도화 될 수 있도록 시스템과 구조를 변경

DPMO 감소 및 공정 능력 개선을 확인

• 유사한 개선 요구 사항을 갖고 있는 다른 프로세스에 개선 결과를 확산 

□ 관련 Tool Skill

Control Chart(관리도), Histogram, 파레토 챠트

Procedures(프로세스 절차서),

Process Management Chart(프로세스 관리도)

Response Plan(대응계획), 교육 훈련

• 프로세스의 시그마 수준(Z) 계산

 

□ 유용한 질문

• 개선 후 프로세스의 시그마 수준은?

이 수준은 과제의 목표를 달성한 것인가?

• 프로세스 관리 계획은?

측정 대상은 무엇인가?

관리도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가?

프로세스가 일관성 있게 실행되고 있는가?

프로세스 측정치가 프로세스가 관리 상태를 벗어났음을 보여주는 경우에 대비하여 대응계획을 수립해 놓았는가?

• 프로세스를 표준화 해 놓았는가?

이러한 개선활동을 지원하게 될 문서를 보여 주시오.

업무교육(OJT)은 실시했는가? 효과를 확인했는가?

• 프로세스 오너는 누구인가?

프로세스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개선하는 책임을 과제팀에서 프로세스 오너에게 어떻게 이관할 것인가?

• 개선 활동을 제도화 하기 위하여 변경할 필요가 있는 시스템과 체계(; 보상제도, 측정지표, 인적 자원, 교육, 정보 등)는 무엇인가?

• 개선 활동의 성과에서 혜택을 얻을 수 있는 또 다른 부서가 있는가?

• 이 프로세스에서 해결해야 할 다음 문제는 무엇인가?

• 과제팀으로서 개선 프로세스를 통해 얻은 교훈은 무엇인가?

 

9. 과제 점검 노트

□ 과        :

□ 점검회의  일자:

□ 과제(진행) 단계:

□ 과제 현황

 

□ 검토자 주요 의견

 

□ 금번에 합의된 다음 단계의 계획

 

□ 차기 점검 회의를 개선하기 위한 제안 사항

 

□ 점검 시 도출 된 이슈/우려사항

 

 

10. 과제 내용 요약서

□ 일자:

□ 부/:

□ 과제명:

CTQ:

□ 현재 시그마/DPMO:

□ 목표 시그마/DPMO:

□ 고객이 얻는 혜택:

□ 재무성과 추정치:

□ 현재까지의 재무적 영향:

□ 과제 시작일:

□ 예상 종료일:

Master Black Belt:

Black Belt:

□ 비고(이슈/문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