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이야기

명품인생이란... 스스로의 갈고 닦음의 결과

오디오전도사 2006. 8. 24. 18:38

명품인생이란...스스로의 갈고 닦음의 결과
('04.11.22. 포스콘 자동화정비실장 안원대)

 

성공한 직장인들은 보통의 직장인들과는 사고방식이 달랐고 업무방식도 독특했으며 근무태도도 차별적이다. 과연 어떻게 다른 동료들과 차별화 할 것인가? 무슨 일을 하든지 세상사람들과 비슷하게 생각하고 행동하면 그 다음 결과는 보나마나 일 것이다. 항상 어떻게 하면 남들과 다르게 할 수 있을까 생각해야 할 것이다.

 

최근 모든 기업들의 운영체계는 제품최대생산과 제조원가절감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현재의 방식으로만 고집하다간 가까운 시일 내 기업내부에 큰 변화가 닥쳐 올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타개하고 기업의 경쟁력 있는 경영체제구축을 위해서는 풍부한 기술을 보유한 인적자원을 최대한 활용,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야만 한다. 따라서 지금의 상황이 위기란 생각을 버리고 호기라는 생각을 가져야 할 것이다. 언제나 위기는 기회와 함께 오기 때문이다. 정보기술의 발달과 경제의 글로벌화로 우리사회는 점점 세분화 다양화되어 가고 있다.

 

우리는 모름지기 자기분야에서 독보적인 지식과 능력을 갖춘 프로가 되지 못하면 생존할 수 없는 시대에 살고 있다. 무엇보다도 프로가 되기 위해서는 자신의 일에 열정과 애정을 갖고 끊임없이 스스로를 갈고 닦아야 하며 새로운 것을 배우고 소화할 수 있는 능력과 함께 주어진 문제를 지혜롭게 해결해 낼 수 있는 해결능력을 갖추기 위해 틈틈이 다양한 서적을 접해야 할 것이다.

 

저렴한 비용으로 책만큼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뭔가를 새롭게 생각나게 하는 생산적, 창의적 수단은 없다. 자신의 분야에서 최선의 노력으로 그 분야에서만큼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사람이 바로 프로다. 이 순간 우리에겐 진정한 프로정신으로의 무장이 필요하다.

 

아무리 뛰어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라 할지라도 고객들의 불만이 없을 수는 없다. 높아지고 있는 고객들의 기대수준, 정보매체의 발달은 고객들의 불만을 확대, 재생산하고 있다.

고객들이 불만을 제기하기를 기다려서는 안된다. 먼저 고객들의 입장에 서서 불만을 처리해야한다. 우는 아이 떡 하나 더 준다는 식의 서비스활동은 이미 낡은 서비스활동이다. 먼저 고객을 찾아 나서는 서비스활동을 전개해야 한다.

 

명품 인생을 산다는 것은 최고급 차를 운행하고 최고급 음식을 먹고 최고급의 집에서 생활한다는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인 스스로 자기업무에서 최고를 지향하고 독보적인 존재이면서 자신만의 브랜드가치를 만들어 생활하는 사람이 직장인으로서의 명품 인생을 산다고 할 수 있다. 지금 우리는 명품 인생을 만들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을 하고 있나?

 

(경북일보 2004년11월22일자 5면 독자칼럼 에서 퍼옴)